sveltekit7 [Sveltekit] 환경변수 설정 - 필수! 과정 개발 시스템 마다 다른 환경변수 세팅! 이번 게시글에서는 Sveltekit을 위한 환경변수 세팅을 해보겠습니다. 환경변수가 뭐냐면, 환경에 따른 변수 입니다. (?) 로컬환경에서 테스트 할때와 개발서버에서 테스트 할때, 스테이지 서버에서 테스트 할때, 운영서버에서 실행할때 모두 api주소나 db주소가 다를 수 있습니다. 매번 값을 변경하고 서버에 올리는 일을 하긴 너무나 힘들고 번거롭고 실수하기 마련입니다. 환경에 맞춰서 변수를 바꿔주는 변수를 환경변수라고 합니다. node.js에서 하는 방법 nodejs같은 환경에서는 .env 파일을 가지고 변수를 컨트롤합니다. nodejs는 dotenv 라는 패키지를 사용합니다. https://github.com/motdotla/dotenv GitHub - motdo.. 스터디/SvelteKit 2023. 12. 16. [Sveltekit] VSCode에서 디버깅하기 (Debugging) sveltekit은 hot-reload가 되기 때문에 개발하면서 화면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정말 개발하기 편합니다. 그래도 ui로 디버깅을 하거나, console.log 명령어로 매번 프린트 디버깅을 하기엔 시간소모와 공수가 많이 듭니다. 거기다가 api의 응답 데이터를 보거나, byte코딩을 할때면 더이상 기존 방법으로 하긴 매우 버겁죠. 서버사이드(server-side) 코드를 더욱이 디버깅하기 힘들죠. 그런 불편한 디버깅을 local 코딩처럼 디버깅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1. node-loader 설치 ESM 로더를 개발모드에서 활성화 합니다. $ yarn add @vavite/node-loader --dev 2. 개발 모드에서만 노드로더 활성화 vite.config.js 로 이동해서 아.. 스터디/SvelteKit 2023. 10. 28. [통계] 2023년 10월 react vs vue vs sveltekit 혼돈의 웹 개발 춘추전국시대가 끝나고, 안정기가 찾아와져서 아직도 그러한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단순 기록용으로 남깁니다. 최근에 러닝커브가 적어서 배우기 쉬운 sveltekit도 비교해봤지만 아직 사용자는 매우 미비한거 같네요. svelete를 응원하는 입장이에요. react가 잠시 주춤할때도 있었지만 역시나 견고합니다. 인도가 압도적이네요 역시 리엑트는 useEffect가 엄청난 검색량이 있고, 빌드 도구인 vite 검색어까지 급등하고 있네요. sveltekit은 그냥 자체적으로 자료가 적다보니 언어에 대한 자체 검색어가 많네요. vue는 구현이 쉽고, 큰 프로젝트에서 쓰기엔 구조화 하기 힘들어서 토이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렇다보니 꾸미는 위주인 tailwind css 까지 언급되고.. 오늘의 서비스/오늘의 소프트웨어 2023. 10. 25. [Sveltekit] alias설정으로 경로 줄여서 모듈 import 편하게 하기. (ex $app, $lib) sveltekit에서 모듈을 추가할때면 import를 사용합니다. 복잡한 app 경로는 "$app" 과 같은 이름으로 이용합니다. 이외에도 "/src/lib" 경로를 "$lib"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듈은 상대경로를 사용하고, 마지막에 모듈명을 써줍니다. "/MyModule.js" 폴더 경로가 복잡하면 이런 경우도 생기게 되죠 "/src/components/module/MyModule.js" 그리고 지금 쓰고 싶은 코드 경로가 복잡하면 이련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MyModule.js" "../../../MyModule.js" "../../MyModule.js" 그리고 같은 코드를 다른곳에 쓰고 싶어서 import부분을 복붙하다보면 상대경로가 달라져서 오류가 나곤합니다.. 스터디/SvelteKit 2023. 10. 12. [SvelteKit] Url의 Params 가져오기 (get query) 오늘은 현재 경로 URL에서 Parameter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시 주소> https://dalgonakit.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manage 위 URL를 치고 들어갔을때, type값과 returnURL값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물음표 뒤에 있는 문장들을 query string, url parameters라고 합니다. key=value 형태로 되어 있으며, &로 key를 분리해놓습니다. 같은 키가 여러개면, 덮어써지지 않고 value가 배열 형태로 세팅되는게 일반적입니다. Sveltekit 코드 import { page } from '$app/stores' +page.svelte 먼저 $app/stores 로부터 .. 스터디/SvelteKit 2023. 10. 4. SvelteKit App.svelte vs App.html 이 질문에 오신분들은 svelte의 입문자를 벗어나기위해서 노력하는 사람으로 선택되셨습니다! (?) 온라인 문서들을 보다보면 간혹 나오는 App.svelte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은.. Svelte의 root 파일 입니다. 뭔소리냐고요? Svelte와 SvelteKit은 같지만 엄연히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Svelte는 javascript 프레임워크, SvelteKit은 Svelte를 포함한 웹 서버 프레임워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에 나온게 SvelteKit 입니다. 이제는 SvelteKit이기 때문에 Svelte에서 사용되던 App.svelte파일을 쓰지 않고 app.html 을 사용합니다. 추가로. sveltekit을 사용하면 app.svelte를 사용하지 않기도 하고, main.js.. 스터디/SvelteKit 2023. 8. 9. SvelteKit 시작. 잡소리 웹개발, 윈도우 개발만 하다가, 모바일 개발만 하다가, 코인 개발만하다가, IoT개발만 하다가, 서버 개발하다가 지금은 웹/앱 개발을 해보려 합니다. 앱에 대한 수요가 아직도 많고, 고사양 프로세싱을 할땐 어쩔 수 없이 앱 개발을 해야하지만, 최근엔 브라우저의 많은 sdk지원이나 서버의 자원을 이용해서 연산해주는 프로세스가 발달하다보니 앱이 거의 필요없고, 웹으로 된 앱이 많이 쓰이는 추세입니다. 한국은 이상하게 대형 개발사들이 spring으로 자리잡으면서 왠만한 백엔드 개발자들이 spring을 많이 하려는 추세이며 밀고나가려고 합니다. "spring이 편하다, 대형 서비스에서 대응하기 좋다"라는 말들이 많지만 내가 java를 썩 달갑게 반기지 않기 때문에 spring은 역시 하지 않으려 합니다... 스터디/SvelteKit 2023. 7.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