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은 마우스 포인터는 움직이는데, 화면이 멈추고, 잠시뒤 마우스도 멈추고,
그 뒤에는 화면이 검정색이였다가, 잠깐 초록색으로 보이더라구요.
소리는 정상이고 드래그 중이였을때 화면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드래그 된 위치로 이동되어있곤 했습니다.
프리징으로 고통받는 수많은 게시글들
1)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8352549
2) https://coolenjoy.net/bbs/28/3859830
3) https://coolenjoy.net/bbs/28/4679421
4) https://www.reddit.com/r/buildapc/comments/yoausc/help_needed_with_livekernelevent_141_crashes_on/
5) https://www.reddit.com/r/ASRock/comments/1e3hnrs/asrock_b650m_pro_rs_frozen_during_boot/
사건의 시작
컴퓨터가 이상할땐 윈도우에 설치된 '안정성 기록보기' 프로그램을 켜봅니다.
저의 경우는 하드웨어 오류라고 되어 있었고,
클릭해보니 livekernelevent 141, 117 에러였습니다
자세히는 안나오지만.. 커널문제가 발생했다 하고
141, 117 만 알려줍니다.
LiveKernelEvent 117, 141 원인
하드웨어 문제이긴 한데
그래픽카드가 문제거나, 램 문제거나, SSD(HDD)문제거나, 메인보드 문제거나, CPU문제거나.
???
결국 다 문제라는 이야기네요.
인터넷에 널린 해결방법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인터넷에 수많은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 그 방법들이 다들 도움이 되지않았고,
결국에는 다들 각자의 방법으로 해결한 모습들만 보였습니다.
테스트 방법
1. 증상을 빠르게 발생시키는 방법 찾기!
어떤 상황일때 증상이 똑같이 발생되는지 찾아봅니다.
저의 경우, 크롬탭이 여러개 켜있고, 그 중 1개의 탭에 이미지나 영상이 있을때
스크롤을 급격하게 내릴때 증상이 발생되었습니다.
2. 부품 최소화 & 부품 교체
1) 램이 2개면 1개로 만들던가
2) 내장 그래픽카드가 있으면, 외장그래픽카드를 뺀다던가.
3) 다른 컴퓨터에 있는 램을 바꿔본다던가
4) SSD를 빼본다던가
1개씩 부품을 제거해보면서 증상을 테스트해봤는데
2번째 방법에서 확실히 증상이 안 나타났었습니다.
3. 그래픽카드가 문제라면 해야할 것
대부분 그래픽카드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와 호완이 안좋을때 오동작을 일으킵니다.
DDU 라는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안전모드에서 진입해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최신버전으로 재설치하면 해결되곤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래도 증상이 똑같았습니다.
4. 우연히 발견한 증상
AMD CPU(7950x3D)와 nvidia GTX4090, G.Skill 5200 64GB 램, Asrock B650 Pro RS 메인보드 환경인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amd도 설치되어있고, nvidia도 설치되어있었고,
amd의 사운드 카드를 삭제하니 증상이 해결되었습니다.
문제는 사운드카드가 삭제되니.. 소리를 들을 수 없었습니다.
5. 사운드 카드만 삭제하는 방법?
사운드카드는 메인보드의 것을 사용중이였고,
리얼텍사운드카드지만 결국엔 내장 AMD 그래픽카드에 연동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제 경우는 외장그래픽카드가 있기 때문에, 내장 그래픽카드가 필요가 없고,
오히려 3D Mark같은 벤치마크를 돌릴땐 내장그래픽카드를 없애야만 점수가 더 높다는게 생각이나서
내장그래픽카드를 꺼야겠다 생각이 되더군요.
6. 내장 그래픽카드 끄는 방법
컴퓨터 부팅시 del키나, f12, f2버튼을 누르면 bios화면으로 이동되는데
메인보드마다 화면이 다르지만, 내장그래픽카드는 igpu라는 이름으로 대부분 통일되어 있습니다.
iGPU = integrated GPU 통합 그래픽, 내장그래픽. cpu랑 통합된 gpu.
dGPU = discreted GPU 독립 그래픽, 외장그래픽, 케이스 안에 있지만 cpu랑 별도의 gpu.
eGPU = external GPU 외장 그래픽, 진짜 외장그래픽 ㅋㅋ, 케이스 밖에서 별도의 메인보드를 가진 gpu.
출처 퀘이사존
보통은 내장그래픽카드를 끌때, iGPU Disabled로 설정하곤합니다.
7. 테스트 & 완료
증상이 나오던 크롬탭 만지기를 하니 이젠 증상이 발현되지 않았고.
3D Mark 점수도 뿜뿜하게 잘 나와줬네요.
번외. 시도해봐야할 것들
저와 다른 경우도 무수히 많을 것이고,
위에 알려드린 방법 이외에도 아래 방법들도 있으니 한번 참고바랍니다.
1. 1개씩 부품 뺏다 끼기
- 모든 부품을 한번에 다 빼고 테스트하지 마세요.
- 부품 1개씩 빼면서 뭐가 문제인지 돌다리를 두들기는 심정으로 하는게 더 빠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바이오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버전 문제
- 간혹 최신버전이 더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전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서 테스트해보세요.
- cpu-z 프로그램으로 항상 버전 체크를 다시 해보세요.
3. 바이오스 초기화
- 램 오버클럭을 위해 XMP, EXPO등을 꺼보세요
- 그래픽카드나 cpu오버클럭을 위한 전압변화를 꺼보세요
4. 모니터를 최소화 해보세요
- 정말 간혹...... 이지만 모니터로 인한 문제를 겪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5. 필요없는 컴퓨터 선 제거
-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거나, 스피커 연결되어 있거나,
- 무수히 많은 usb 제품들을 제거하고 테스트해보세요
6. 윈도우 포맷
- 윈도우는 메모리 오버플로우에 어쩔수 없는 OS여서 12개월마다 주기적으로 포맷해주면 좋습니다.
- 윈도우 특정 버전이 엉망이여서 윈도우 부팅 디스크 만들기를 새로 해서, 다시 설치해보세요.
- 드라이버들을 미리 다운받아서 다른 파티션에 놓고, 윈도우 설치할때 랜선을 빼서 진행해보세요. 윈도우가 자동으로 깔아주는 드라이버 문제인 경우도 있습니다.
7. SSD, HDD 배드블럭 테스트
- DiskGenius 또는 HDDTune으로 검사.
8. RAM 테스트
- MemTest86프로그램으로 윈도우가 아닌 프로그램으로 부팅하여, 메모리를 검사해보세요.
9. sfc 또는 dism 테스트
이걸로 오류를 잡아본적은 극히 드물지만 가끔 잡힙니다 ㅠ
프리징으로 고통받는 분들 빨리 해결되길 바랍니다.
수고..
'스터디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S Browser Camera Permission (0) | 2025.01.24 |
---|---|
node 설치/삭제/관리 (brew uninstall, nvm install) - for MacOS (0) | 2024.12.10 |
Fly.io Region 설정 (0) | 2024.12.04 |
Cloudflare r2 aws-sdk s3로 업로드 (0) | 2024.10.25 |
Cloudflare Pages Next.js 비추. (0) | 2024.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