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io가 docker를 배포하기 정말 편하지만.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좋은 속도를 찾아서 연결해준다고 하지만 엉터리임..
그래서 region 설정이 필수 인데요.
이유는 한국 region(리전)이 없기 때문인데요....
서버 사용료가 과도해서 없는게 아닐까 싶은데.
아무튼 속도 비교는
각 리전마다 ping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나마 한국에서 가까운 일본은
불타고 있네요......
기본 300ms 먹고 들어갑니다.
region에서 다른 api를 호출하면,
inbound, outbound 로 따져서 300ms씩 해서 600ms가 추가됩니다;;
디버그 페이지로 가면
가장 가까운 효율좋은 리전을 보여준다는데.
Fly-Region 을 보시면 'sin' 싱가폴 이라고 나옵니다.
싱가폴도 불타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는 체감상 inbound, outbound 각각 500ms 정도 있습니다..
fly.toml 에 세팅할때는
app = '@@@@@@@@@@@@@@@@@@@@'
[build]
dockerfile = './docker/Dockerfile.dev'
[scale]
count = 1
[http_service]
internal_port = 4000
force_https = true
auto_stop_machines = 'suspend'
auto_start_machines = true
min_machines_running = 0
[env]
NODE_OPTIONS='--max-old-space-size=512'
primary_region = 'sin' <---------
env 부분에 있는 primary_region으로 리전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게 처음 배포시에만 적용되고 실제로는 적용이 정말 안됩니다.....
그래서 직접 fly CLI로 세팅해줘야합니다.
$fly scale count 0 --region sin --config fly.dev.toml
$fly scale count 1 --region sin --config fly.dev.toml
fly.toml파일이 있는 곳에서 fly 명령어를 직접 써서 scale count 0을 해서 필요없는 곳은 꺼주고,
scale count 1 (1이상 숫자)를 해서 켜주면 됩니다.
'스터디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S Browser Camera Permission (0) | 2025.01.24 |
---|---|
node 설치/삭제/관리 (brew uninstall, nvm install) - for MacOS (0) | 2024.12.10 |
Cloudflare r2 aws-sdk s3로 업로드 (0) | 2024.10.25 |
Cloudflare Pages Next.js 비추. (0) | 2024.07.17 |
cloudflare worker + kv namespace + env + dev + deploy (0) | 2024.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