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host1 [ngrok] localhost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툴. 이전부터 유용하게 써왔던 도구 이지만, 막상 생각할려면 이름을 까먹어서 이참에 리뷰해봅니다. 언제 사용될까? 서버를 컴퓨터에서 구동하면 주로 127.0.0.1:8080 또는 localhost:8080 이런 웹 서버 주소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로컬 주소다보니 외부 컴퓨터에서는 찾을 수 없는 서버 주소이죠. 그럴때 외부 서버가 찾을 수 있는 dns를 만들어주며 연결도 가능한 도구 입니다. ngrok를 사용하기 전에는 어떻게 했을까요? 물론 지금도 사용하는 방법이긴 하지만, 1) 로컬 네트워크에서 내 아이피 주소를 찾고 (ex. 192.168.0.11) 2) 공유기에 접속해서 내 주소를 포트포워딩을 하거나, DMZ을 해줍니다. 2-1) 그리고 또 다른 공유기로 가서 또 포트워딩을 하거나 DMZ해제 해주고.. .. 오늘의 서비스/오늘의 소프트웨어 2023. 10. 27. 이전 1 다음